본문 바로가기
건강

자다가 자꾸 깬다면? 대처법은?

by 인포커리어 2024. 2. 13.
반응형

충분한 수면을 위한 방법

자다가 유독 자꾸 깨는 분들 계시죠? 자다가 깨버리면 다시 잠들기도 어렵고, 어렵게 잠이 들어도 아침에 개운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푹 수면을 취할 수 있을까요? 잠이 깨는 여러 가지 원인과 이에 따른 대처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수면 유지 장애

수면 유지 장애는 일상적인 생활 습관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노화, 생체리듬 변화, 일조량 감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생활 습관이 교정된다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기본인데요. 일정한 기상 시간을 유지하고, 아침에는 햇빛을 받아야 합니다. 충분한 양의 빛을 받으면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 생체리듬이 조절됩니다. 또한, 침실은 섭씨 18~20도를 유지하고 조명을 어둡게 해야 편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법은 제 이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2024년 목표 달성을 위한 첫 걸음, 수면 질 향상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5가지 방법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아 새 목표를 세우신 분들 많으시죠? 건강한 식단, 활기찬 운동, 그리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고민하는 이 시기, 우리는 무엇이

informationcourier.tistory.com

 

수면무호흡증

수면무호흡증은 숨이 멈추는 순간 뇌가 놀라면서 잠에서 깨는 현상입니다. 이는 비만이나 호흡기 조직의 비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옆으로 누워 자거나, 상체를 일정 각도로 세워서 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 놀람증

스트레스나 불편한 자세로 자면 수면 놀람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 단계가 안정적이지 않아 근육 발작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따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카페인 섭취나 과도한 운동, 스트레스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 환자가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보통 팔다리가 저리고 통증, 작열감이 동반됩니다. 이는 고혈당으로 말초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데, 약물치료 등으로 통증을 조절하고 혈당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술과 담배는 자제해야 합니다.

 

반응형